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
- 연령: 만 19~34세(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 연장)
- 개인소득: 연 7,500만 원 이하(6,000만 원 초과~7,500만 원 이하는 비과세만 적용, 정부기여금 미지급)
- 가구소득: 기준 중위소득 250% 이하(1인 가구 월 598만 원, 4인 가구 월 1,256만 원 등, 매년 변동)
- 기타: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는 중복 가입 불가, 1인 1계좌 원칙
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
- 주거래 은행(국민, 신한, 우리, 하나, 농협, 기업, 부산, 광주, 전북, 경남, 대구, iM뱅크 등) 모바일 앱 또는 인터넷뱅킹에서 비대면 신청
- 본인 명의 휴대폰, 공동인증서 필요
- 영업점 방문 신청도 가능(외국인, 휴대폰 미소지자 등)
- 신청 후 2주 내 개인·가구소득 자동 심사(행정정보 연동)
- 심사 통과 시 계좌 개설 및 월 납입(최대 70만 원, 5년간)
청년도약계좌 금리
- 기본금리: 연 4.5% 내외(은행별 상이, 3년 고정+2년 변동)
- 우대금리: 은행별 급여이체, 카드실적, 첫거래 등 조건 충족 시 최대 1.5%p 추가
- 체감금리: 정부기여금, 비과세 혜택 포함 시 최대 9.5% 수준 가능
- 정부기여금: 월 최대 3.3만 원(소득구간별 차등, 5년간 최대 198만 원)
은행 | 기본금리(예시) | 우대금리(최대) |
---|---|---|
국민, 신한, 우리, 하나, 농협 등 | 4.5% | 1.0~1.5% |
iM뱅크, 부산, 광주, 전북, 경남, 대구 | 4.0~4.5% | 1.0~2.0% |
※ 은행별 금리 및 우대조건은 상이하므로 반드시 비교 후 가입
자주묻는질문(FAQ)
-
Q1. 7월 신청기간을 놓치면 언제 다시 신청할 수 있나요?
매월 또는 연 2회 정기모집 일정이 있으니, 다음 달에도 신청 가능합니다.
은행별 일정 공지 확인 필수 -
Q2. 청년도약계좌 금리는 은행마다 다른가요?
네, 기본금리와 우대금리 조건이 다르니 여러 은행 비교 후 가입하세요. -
Q3. 정부기여금은 누구나 받을 수 있나요?
연 6,000만 원 이하 소득자만 정부기여금+비과세, 6,000만~7,500만 원은 비과세만 적용됩니다. -
Q4. 청년희망적금과 중복 가입 가능한가요?
불가합니다. 해지 후 청년도약계좌 신청해야 합니다. -
Q5. 중도해지하면 불이익은?
3년 이상 유지 시 일부 정부기여금 유지, 5년 미만 해지 시 혜택 일부 환수됩니다.
청년도약계좌 7월, 조건·금리·신청방법 꼼꼼히 확인
신청기간, 소득·연령 조건, 금리, 정부기여금, 우대혜택을 반드시 비교해보고, 은행 앱에서 빠르고 간편하게 신청하세요. 예산 소진 전 선착순 접수이니 일정 놓치지 마시고, 궁금한 점은 서민금융콜센터(1397) 또는 각 은행 콜센터에 문의하세요.